지난 14일은 SBS <일요일이 좋다-런닝맨>(이하 <런닝맨>)으로서는 천국과 지옥을 모두 오간 최악의 하루였다. 하지만 제작진 스스로가 자초한 위기라는 점에서 누구를 탓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설상가상으로 그 다음날인 지난 15일에는 <런닝맨> 제작진이 새 멤버로 염두에 두었던 강호동도 출연 고사 뜻을 밝혔다.
지난 14일 각종 연예 매체에서는 강호동과 박명수의 <런닝맨> 합류 소식과 함께 7년동안 <런닝맨>에 출연해온 김종국과 송지효가 본업 활동을 이유로 하차의사를 밝혔다는 기사를 집중 보도하였다.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액면 그대로 믿었고 강호동이 합류한 이후의 새로운 <런닝맨>에 기대와 우려를 드러내는데만 여론이 집중되었다.
그러나 오후들어서 <런닝맨> 하차에 대한 김종국과 송지효의 반박 입장이 기사화되면서 여론은 급반전을 이룬다. 김종국 측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김종국은 하차 기사가 나온 지난 14일에서 불과 이틀 전인 12일에서야 <런닝맨> 제작진으로부터 하차 결정을 통보받았으며, 송지효는 기사가 나오고 나서야 자신의 <런닝맨> 하차 사실을 알게되었다. (<런닝맨> 제작진을 제외한듯한) 누가봐도 비상식적인 하차 통보에 <런닝맨>에 대한 네티즌들의 여론은 폭주하기에 이른다. 김종국과 송지효가 <런닝맨> 출연 덕에 한류스타로 발돋움하게 된 것은 별개의 문제다. 아무리 김종국과 송지효가 그동안 <런닝맨> 덕을 많이 봤다고해도 공식 하차발표 하루이틀 전에야 당사자에게 일방적으로 해고 통보를 하는 것은 7년동안 함께 프로그램을 만들었던 사람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세상에 아름다운 하차통보는 없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개편을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면 떠나는 자에 대한 충분한 입장존중과 배려가 뒤따라야한다. 그런데 <런닝맨> 측은 <런닝맨>을 함께 만들었던 김종국과 송지효와 상호 대화로서 하차 문제를 풀어가는 대신, 일방적인 통보로 김종국과 송지효는 물론 오랫동안 그들과 함께했던 남은 멤버들의 입장마저 곤란하게 만든다. 오랫동안 <런닝맨>을 즐겨봤던 수많은 국내외 팬들의 감정을 상하게 만든 것을 이뤄 말할 수 없다.
상황이 급속도로 악화되다보니, <런닝맨> 새 멤버로 물망에 올랐던 강호동은 재빨리 출연제의 고사 입장을 밝혔다. 박명수는 지난 14일 <런닝맨> 합류 기사가 나오자마자, 이를 강력하게 부인한 바있다. 김종국과 송지효를 하차시키고 그 자리에 강호동과 박명수를 염두에 두었던 <런닝맨> 제작진으로서는 ‘닭쫓던 개 지붕 바라보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런닝맨> 새 멤버로 당연히 들어올 줄 알았던 강호동의 출연 고사도 뼈 아프겠지만, 제작진의 판단미스로 김종국, 송지효 그리고 시청자들까지 모두 놓친 것은 한동안 방송 프로그램 제작진들이 절대로 하지말아야할 최악의 일처리로 회자될 듯하다.
<런닝맨> 시청자들이 김종국, 송지효에 대한 제작진의 일방적인 하차통보에 크게 반발하는 것은 상식적으로 전혀 이해가 안가는 행동이기 때문이다. 몇몇 시청자들과 네티즌들은 김종국과 송지효에 대한 일방적인 하차통보를 ‘소통이 부재한 박근혜식 한심한 졸속행정’을 보는 것 같다면서 강도높은 비판을 아끼지 않는다. <런닝맨>을 평소에 즐겨보지 않는 사람들도 화나게 하는 하차통보인데, 하물며 <런닝맨>을 꾸준히 지켜보았던 애청자들에게는 “내가 이러려고 <런닝맨>을 보았나” 류의 배신감까지 느끼게 한다.
제작진도 어렵게 꺼내든 하차 카드였겠지만, 사실 몇 년동안 지적 되어오던 <런닝맨>의 문제는 출연자들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매주 반복되는 포맷의 한계에서 오는 식상함과 피로 누적이 가장 크다. 매주 다양한 형태의 주제로 프로그램을 이끄는 MBC <무한도전>과 달리 <런닝맨>은 게임의 틀 안에서만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때문에 그 한계가 더 빨리 노출될 수밖에 없다. 내용이나 형식면에서는 더 이상 새로운 것을 보여줄 것이 없었기 때문에 그 어떤 리얼 버라이이어티 프로그램보다 특급 게스트 섭외에만 집중한 것도 몇 년동안 시청률 한자리 수에 머무는 부진의 원인으로 꼽힌다.
공중파 방송국의 자존심이라고 할 수 있는 주말 예능에서 시청률 한 자리 수를 기록하는 시간이 한동안 지속되면 당장 폐지수순을 밟았겠지만, 유독 SBS가 <런닝맨>에게 관대했던 것은 순전히 압도적인 해외 인기 덕분이다. 비록 국내 시청률은 저조하지만 중화권, 동남아에서 너무나도 잘나가는 <런닝맨>이기 때문에 어떻게든 그 생명력을 오래 유지하고 싶었다. 그래서 떠나간 국내 시청자들을 잡기 위해 <런닝맨> 측에서도 여러 노력을 기울었겠지만, 더 이상 <런닝맨>을 보지 않는 시청자들의 반응은 냉담할 뿐이었다.
오늘날 <런닝맨>을 만든 일등공신이자, 해외에서도 인기가 높은 김종국과 송지효 하차 결정은 <런닝맨> 측에서도 뼈아픈 선택 이었을 것이다. 과연 김종국과 송지효의 하차가 새로운 <런닝맨>을 만들기 위한 최선이라는 제작진의 생각에는 여전히 물음표이지만, 김종국과 송지효를 떠나 보내야 한다면 일단 그들이 하차를 원하는지 충분한 의논 끝에 당사자의 입장을 최대한으로 존중해야 한다. 그것이 국내외에서 사랑받는 <런닝맨>을 함께 만든 사람들에 대한 예의다.
김종국과 송지효에 대한 하차통보가 더욱 아쉬움이 남는 것은 몇 달 전 <런닝맨>에서 하차한 게리를 떠나보내는 방식과 너무나도 다르기 때문이다. 게리 하차 당시 2주 동안 게리 특집을 만들어주며 오랫동안 함께한 출연진에 대한 예의를 보여줬던 프로그램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지금 <런닝맨>은 김종국, 송지효는 물론이고 남게될 출연진들, 시청자들에게도 큰 상처를 안겼다. 뒤늦게 사태파악에 나선 <런닝맨> 측이 게리 하차 때 처럼 김종국과 송지효와의 이별 파티를 성대하게 치뤄준다고 한들, 깨진 독에 물 붓기식의 하차 특집에 감동받고, 새로운 <런닝맨>에 힘찬 기대를 걸 수 있을까. 그 어떤 것보다 소중히 여겨야할 생명과 인간에 대한 존엄성이 땅바닥에 떨어진 지금. 수많은 국민들을 진절머리 나게한 ‘박근혜 정부’식 일방통행과 너무나도 닮아있던 <런닝맨>의 예의없는 하차가 참으로 불쾌하게 다가온다.
'예능전망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한도전 칭찬합시다. 세상을 아름답게 만드는 영웅은 먼곳이 아니라 가까운 곳에 있습니다 (2) | 2016.12.25 |
---|---|
2주 연속 논란에 휩싸인 snl 코리아8. 사과뿐만 아니라 근본적 문제 고민할 때 (1) | 2016.12.05 |
노란리본과 촛불. 무한도전이 현 시국을 위로하는 방식 (0) | 2016.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