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전망대

컨택트. 끝과 시작의 모호함의 경계를 찾아서

반응형

<컨택트>. 제목, 포스터를 보고 당연히 SF영화인 줄 알았다. 물론 <컨택트>는 SF 장르적 요소가 더러 있기는 하다. 하지만 영화를 끝까지 보고 '과연 이 영화를 SF영화로만 단정지을 수 있을까?'하는 의문이 들었다. 엄밀히 말하면 <컨택트>는 SF영화보다 스릴러 드라마에 가깝다. 하지만 이 영화를 서스펜스가 잘 구축된 잘 만든 스릴러물로 보자니, 이 영화가 준 감흥을 완벽히 담아낼 수는 없을 것 같다. 




<컨택트>의 원제는 <Arrival>이다. 그런데 <Arrival>이라는 좋은 제목이 있는데, 왜 한국에서는 구태여 <컨택트>라는 제목을 달아야만 했을까. SF영화의 한 획을 그었던 <콘택트>(1997)와 비슷한 영화라는 느낌을 주기 위해서? 물론 인간과 외계인간의 접촉이 영화 내러티브를 구성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다뤄지긴 하지만, 이 영화가 오직 <컨택트>만 담아내는 게 아니었는데. 한국 측 수입, 배급사(유니버설픽쳐스인터내셔널코리아)의 전략에 의해 바뀐 제목이 두고두고 아쉽다. 


각설하고, 이 영화를 간략하게 살펴 보자면, 1) 살면서 한 번도 보지 못했던 괴이한 생명체를 맞닥뜨릴 때의 두려움으로 볼 수 있다. 이 영화를 SF 스릴러로 간주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실제로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2015)을 통해 서스펜스가 잘 구축된 범죄 스릴러의 진수를 보여줬던 드니 빌뇌브 감독은 낯선 환경에 닥친 인간이 느끼는 공포와 두려움을 스펙타클하게 보여주는 솜씨가 대단하다. 하지만 뛰어난 연출 기법을 보여줬다는 이유만으로 '전에 없던 새로운 SF의 탄생'이라는 식으로 호들갑을 떤다면, 그것은 과대 광고에 불과하다. 사실, 관객들도 스크린 속 인물들과 함께 긴장감을 느끼게 할 정도로 몰입감있는 서스펜스를 구축하는 감독도 흔치는 않지만 말이다. 


2) 외계인(혹은 새로운 문물)을 접했을 때 인류가 취해야할 이상적인 교훈을 보여주었다. 주인공 루이스(에이미 아담스 분)을 비롯한 <컨택트>의 모든 등장 인물들은 외계인을 두려워하고 있다. 말도 안 통하고, 그들이 왜 지구에 왔는지도 모르겠고, 행여나 지구를 침공하는 것이 아닐까. 그래서 참다 못한 몇몇 나라들은 인류를 보호하기 위해 외계인들과 전쟁을 선포 하기도 한다. 하지만, 누군가와의 전쟁은 결국 수많은 미망인들만 만들어 낼 뿐이다. 아니, 자칫 잘못하다가 지구를 지키는 것이 아니라, 지구의 멸망만 앞당길지도. 


2) 의 연장 선상으로 3)외계인(혹은 새로운 문물)을 넓은 마음으로 받아들이면, 새로운 차원이 열린다. 외계인들이 지구(자신)을 공격 할까봐 두려워하는 다른 인물들에 비해, 루이스는 외계인들과 진정한 소통을 하고자 노력한다. 처음부터 루이스가 외계인들에게 친밀함을 느낀 것은 아니다. 처음 외계인들이 있는 비행물체에 접근했을 때, 루이스는 두려움에 가득차 있었고, 외계인과 처음으로 조우했을 당시, 그녀는 충격에 정신까지 잃게 된다.(그래도 그 전에 연구자 보다는 낫다는 웨버 대령의 칭찬을 듣기는 했지만) 그러나 마음의 문을 열고, 외계인과 진정한 소통을 위해 온 몸을 내던진 루이스는 외계인과의 전쟁 위기에서 지구를 지키는 용감한 영웅이 된다. 


그런데 말입니다. 지구를 지킨 위대한 영웅의 이야기라고 하기에, <컨택트>의 결말은 상당히 찜찜하다. 분명 표면적만 놓고 보면 지구도 지키고, 루이스를 옆에서 살뜰하게 챙겨주었던 이안(제레미 레너 분)과 사랑도 확인하는 행복한 결말인데, 왜이리도 슬프게 다가오는 건지. 결말에 대한 복선은 이미 오프닝에서 살뜰하게 깔려져 있다. 아이를 낳고, 어느정도 자란 딸이 애교를 부리는 마냥 행복해야할 상황에서도, 애써 슬픔을 감추는 듯한 루이스의 아리송한 표정. 남편이 없어서 그런가 싶었는데, 알고 보니. 흠. 그 이후에도 영화가 진행되는 내내 루이스와 딸 간의 있었던 장면이 종종 등장 하는데, 시간이 지날 수록 조금씩 드러나는 실체에 전율까지 느껴진다. <컨택트>가 문과판 <인터스텔라>로 불리는 이유이기도 하다. 


영화를 다 보고 이런 생각이 들었다. 만약 내가 훗날 있어날 안 좋을 일을 알고 있다면, 나는 순수히 그 길을 갈 수 있을까. 하지만, 설령 결말이 좋지 않다고 해도, 그 과정에서 벌어지고 느끼는 행복까지 버릴 수는 없는 법이다. 원래 모든 일에는 끝이 있다. 우리 삶이 가치있게 느껴지는 것은 무한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이 늘 괴로운 것은 세상에는 영원한 것도 없고, 내가 원하는 모든 것을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하나를 얻고자 하면, 그 대신 많은 것을 포기하고 감내해야한다. 하지만 대다수의 인간들은 자기가 현재 가지고 있는 모든 것(육체, 사상, 물질 등)을 놓으려고 하지 않는다. 자신이 가진 것을 반드시 지켜야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위협적으로 보이는 존재를 적으로 규정 하기도 한다. 


<컨택트>는 자신과 다른 모습과 생각을 가진 이들을 두려워하고, 배격하는 인간의 편협적인 모습을 실감나게 뒤틀린 영화이기도 하다. 이는 사람에게만 해당하는 문제가 아니라, 외계인이 루이스(인간)에게 건낸 '무기'를 바라보는 인간의 자세에서도 생각해볼 수 있다. 대다수 인간들은 '무기'를 말그대로 '무기'. 즉 외계인이 인간을 공격하는 도구로 간주한다. 하지만 열린 마음으로 외계인들과 진심으로 소통하고자하는 루이스는 '무기'를 '선물'로 해석하고, 외계인과 지구인간의 전쟁을 막는다. 




그런데 문제는 외계인이 준 무언가를 '선물'로 받아들인 그 이후부터다. 지금까지 갖고 있던 인식과 사고 체계를 송두리째 바꾼다는 것. 감히 이 영화에 대해서 몇 마디의 언어로 단순하게 정의내릴 수 있을까. 영화를 보고 명쾌한 답을 받는 것이 아닌, 여러 가지로 뻗어나가면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하게 만드는 영화. 여러모로 난해하게 다가오지만, 이 영화에 대해서 많은 것이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컨택트'가 아니라 '어라이벌'이라는 원제가 더 와닿는. 이 영화 자체가 끝이 곧 시작인 <Arrival>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