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능전망대

힐링캠프 보통학생 안철수 대한민국 교육과 사회에 경종 울린 강력한 백신

반응형


MBC <황금어장- 무릎팍도사>에 나오기 전까지 안철수는 대다수 대중들에게 '나와는 다른 세계에 살고 있는 사람'이였습니다. 그는 유복한 환경에 자라 우리나라에서 극소수 수재들만 들어갈 수 있다는 서울대 의대를 들어가고 90년대 초반 역시 소수만 만질 수 있었던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을 개발하여 제법 큰 사업체를 운영하는 엘리트 중의 엘리트였으니까요. 


똑같은 출발선상에 뛴다고 하나, 실상을 기존에 가지고 있던 체격, 체력, 뛰는 위치에 따라 불공정한 게임. 그 게임에서 태생부터 에이스일 줄 알았던 안철수가 초등학교 다닐 때만해도 반에서 중간 정도 하는 '보통 학생'이었다는 소식은 자식의 성적을 올리는 방도라면 자다가도 벌떡 일어난다는 대한민국 상당수 부모들의 귀를 쫄깃하게 했습니다. 


<무릎팍도사>에서도 크게 회자되긴 했지만, 오늘 날 안철수를 만든 것은 다름아닌 독서입니다. 어린 시절 부모님의 강요에 의해 장기간 책상 앞에 앉아 시키는 공부만 열심히 하는 대신 도서관에서 지내면서 다른 세계를 간접체험했던 그 소중했던 시간들이 의대에 진학하면서도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을 만들고, 보통 학생들에게 인생의 지혜를 일깨워주는 멘토로도 나아갈 수 있었던 자양분이 되었던 것이죠. 


그런데 책의 줄거리와 내용, 그리고 주요 등장인물만 파악하기 바쁜 보통의 책읽기와는 달리, 어린 시절 안철수가 책을 읽었던 방식은 다소 독특합니다. 전체 내용을 아는데 급급하는 대신, 인물의 생각과 감정에 집중하면서 'Sympathy(동정,머리로 하는 공감)'가 아니라 'Empathy(가슴으로 하는 공감)' 를 했던 안철수는 그 때부터 타인의 행동과 그 사람 자체를 이해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어릴 때부터 자신이 직접 눈으로 보지 못하는 세계를 '책'을 통해 배우고 익히던 안철수는  오히려 자기 스스로 본인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를 선택할 수 있었고, 그동안 어떤 선택 기로가 주어지던지, 타인의 기준이 아닌 자신의 판단과 직관만으로 스스로 선택하는 경지에 오르게 됩니다. 


그러나 어릴 때부터 '책'과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에 대한 '자각'이 있었던 안철수와 달리 대부분의 대한민국 학생들은 그러지 못했습니다. 어릴 때 '책'을 많이 읽어야 앞으로 훌륭한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이야기는 귀에 박히도록 들었지만, 대부분은 '책'에 적혀있는 검은 글자만 읽기 급급했습니다. 책을 끝까지 읽더라도 등장 인물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기보다, 공부를 잘하기 위해서 혹은 자신의 유식함을 과시하는 수단으로만 대부분 활용합니다.


그리고 중, 고등학교에 진학해서는 '학업'이라는 이름 하에 마음껏 읽고 싶은 '책'을 보지도 못하는 나날들을 보내게 됩니다. 가끔 '책'을 읽어야할 때도 있지만, 대부분은 교과서, 문제집이고, 그 외의 양서들도 자기가 읽고 싶어서 보기보다 훗날 입시를 위한 '논술' 대비 수단으로 그 마저 '교과서'와 같은 반열에 오르게 됩니다. 


어릴 때부터 자기 스스로 판단하기보다, 부모님의 뜻에 따라 공부에 전념하고 진로를 결정했던 학생들은 그저 부모님이 시키는대로 열심히 공부하면 인생이 순탄하게 잘 풀릴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우수한 성적을 거두고 소위 '명문대'에 진학하고 설령 부모님이 원하는 전공을 택하는 행운을 얻더라도 대부분의 학생들은 그 때부터 진지한 고민에 빠지게 됩니다. 훗날 이 학문에 대한 미래 비전에 대한 회의와 내가 이걸 잘 할 수 있을까에 대한 회의감. 


하지만 어느 누구도 절망과 고민에 빠진 청년들과 학생들의 눈높이에서 대화를 들어주고 희망적인 비전을 제시하는 이는 거의 없었습니다. 그저 보통 학생들과 차원이 다른 소수의 '성공 표본'을 보여주며 "이 사람들은 이런 힘든 상황에서도 성공을 일구었는데, 너희들도 꾹 참고 남들보다 능력을 더 쌓으면 잘 살 수 있다." 면서 학생들을 다그치기 바쁩니다. 



그래서 대다수 학생들은 어른들의 말씀을 잘 듣고 맨 꼭대기의 아련한 한 줄기의 빛을 보고 하루 빨리 이 칠흙같이 어두운 동굴을 빠져나갈 수 있다는 일말의 희망을 품게 됩니다. 그리고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선택하는 대신 오직 좋은 직장에 취업할 수 있는 '스펙 쌓기'에 전념합니다. 자기가 좋아하는 일이 아닌 세상이 우러러 보는 분야를 택하게 되고 그러다보니 너도나도 똑같은 목표를 향해에 달리는 이들보다 더 높은 스펙을 쌓아야 남들보다 빨리 동굴을 빠져나올 수 있기에 같이 공부하는 동급생들은 '경쟁자'이자 '라이벌'일 뿐입니다. 


자꾸만 남이 쌓은 스펙과 성적과 자신이 쌓은 결과를 비교하게 되고, 학생들은 남에게 뒤쳐지지 않기 위해 더더욱 '경쟁'의 '경쟁'에 돌입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스레 '타인'에 대한 배려와 이해는 점점 사라지기 마련입니다. 결국은 '나'만이 이 치열한 전투에서 살아남는 것이 최우선이니까요. 



허나 정작 그 어둠같은 동굴에서 힘겹게 빠져나가는 이는 얼마 되지 않고, 대부분의 도전자들은 자기가 정말로 무엇을 잘하고 무엇에 필요한 인재인지 인식하지 못한 채  '낙오자' 그리고 '패배자'라는 딱지 하에 깊은 절망의 늪에 빠지게 됩니다. 청춘의 특권을 포기하고 안정적으로 먹고 살기 위해 '스펙'에만 전념했는데 돌아오는 것은 끝이 안보이는 어둠과 실패에 대한 '자괴감' 입니다. 자연스레 청년들의 자살율은 높아질 수 밖에 없고, 지금 상황도 불안한터라 미래까지 생각해야하는 출산율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은 인지상정이지요. 


지금도 자신이 무엇을 하고 싶고, 무엇을 잘 하는지 알지 못한 채 그저 부모님이 시키는 대로 무조건 좋은 대학을 가야한다고 쉬지도 않고 공부만 해야하는 스트레스에 원형 탈모가 일어났다고 <안녕하세요>를 통해 하소연하는 14세 소녀 이야기는 우리나라에서 결코 낯선 풍경이 아닙니다. 치열한 조기 교육과 선행학습만이 아이를 행복하게 할 수 있다고 믿는 풍토가 만연한 대한민국 교육 현실에 반에서 중간 정도 학업 성취를 기록한 보통학생에서 우리나라 학부모들의 로망 '서울대 의대'로 진학한 안철수의 성공 가도는 결과만을 놓고 봐도 상당히 '매력적'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안철수에게 집중해야하는 것은, 그가 조만간 대선에 출마하는가 혹은 그가 어떤 업적을 이루었는가 등 단순 '결과'가 아닙니다. 남들과는 다른 DNA를 가지고 있었던 안철수가 어떻게 절망의 늪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던 보통 평범한 청년들의 상처받은 마음을 어루만져 주고, 의사로, 사업가로 살면서도 다른 이의 마음을 헤아릴 수 있는 이해심을 가지게 된 '과정'이지요. 


여러모로 안철수는 어떻게 해서든지 남을 이기기만 하는 게임의 룰을 먼저 배웠던 사람들과는 다른 세상에 살고 있는 사람이 확실합니다. 공부만 하기보다 스스로 자신의 삶을 선택해왔고, 결과만이 아닌 과정으로 자기와 다른 타인을 이해하는 법을 먼저 배웠던 안철수. 유력한 대선 후보로만 평가하기 이전에 인간 안철수는 지금 무수한 경쟁과 스트레스에 아파하는 우리 교육 현장과 사회가 주목해야할  이상향이 아닐까 싶네요.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감하시면 손가락을 꾸욱 눌러주세요^^
제 블로그가 마음에 드시면 구독+을 눌러주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