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전망대

'동아시아반일무장전선'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과 함께한 특별시사회 성황리에 진행

반응형

1974년부터 1975년까지 발생한 일제 전범기업 연속폭파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동아시아반일무장전선>이 오는 20일(목) 개봉을 앞둔 가운데, 지난 14일 대한극장에서 국내 일제 강제징용피해자 및 관계자가 함께한 <동아시아반일무장전선> 특별 시사회가 진행됐다. 70년대 일본 사회를 발칵 뒤집은 연속폭파사건을 소재로 담아낸 만큼 관련 단체 특별시사회를 개최하며 더욱 뜻깊은 만남의 장을 마련했다는 후문이다.

 

 

이날 열린 <동아시아반일무장전선> 특별 시사회에서는 국내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소송대리인을 맡고 있는 임재성 변호사, 동아시아평화연구소 소장 서승 교수, 문화평론가 이택광 교수, 미쓰비시 소송 관계자, 태평양전쟁피해자보상추진협의회(보추협) 유족, 민족문제연구소, 일본군 ‘위안부’ 연구소 등 많은 관계자들이 무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대거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특히 이날은 75주년 8・15 광복절을 앞둔 날로 그 의미를 더했다.

 

상영 직후 이루어진 GV에서는 <동아시아반일무장전선>의 김미례 감독, 임재성 변호사, 영화의 아카이빙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심아정 독립연구활동가가 참석해 영화에 대한 심도 깊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위의 세 사람은 지난 2018년 4월 베트남전쟁 시기 한국군의 민간인 학살 진상규명을 위해 각자 법률팀, 조사팀으로 만난 인연이 있으며, 공통적으로 가해자성에 대한 자각과 가해의 경험을 어떻게 풀어내야 하는지에 대한 관심사가 있다고 소개했다.

먼저, 임재성 변호사는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소송의 대리인으로 볼 때 이 영화는 굉장히 충격이었다. 70년 대 일본의 틈을 만나 볼 수 있었던 영화다”라며 영화를 관람한 소감을 전했다. 이어 그는 ‘가해자의 자리에 선다’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사람으로서 영화 속 등장인물들이 1970년대 재기했던 ‘가해자성’의 자각이 2020년에 살고 있는 우리가 어떤 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한 묵직한 질문에 “행위의 결과를 고민하는 그 모습들이 ‘가해자성’을 생각하는 시작일 것”이라며 제국주의 위에 쌓아 올린 견고한 전범기업을 파괴하는 것으로 대가를 지불하고 책임을 지려 한 ‘동아시아반일무장전선’의 거대한 성찰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내비쳤다.

또한, 동아시아평화연구소 소장 서승 교수는 “영화 속에서 사건 당시의 일본 분위기를 그대로 느낄 수 있었고, 내밀한 인터뷰를 통해 부대원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어서 좋았다”라는 호평과 더불어, “사건이 일어나고 반세기가 지났음에도 정작 본국 일본에서는 해당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가 없지만, 한국에서 개봉한다는 것이 굉장히 의미가 있다”라며 역사에서도, 미디어에서도 잊혀 가는 사건을 끊임없이 조립해서 선사한 감독에게 감사를 표했다. 

 

영화를 관람한 관객들은 “일본 사회를 뒤흔들었던 소재와는 반대로 담담한 연출이 돋보인다”라며 김미례 감독의 섬세한 연출에 대한 칭찬과 “한국 의열 청년들이 해야 했던 일을 일본인들이 했다는 것에 몹시 놀라고, 전혀 상상하지 못했다” 등의 공감과 함께 가슴 벅찬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 이어지는 다양한 질문과 답변으로 관객들과의 특별함을 더하며 마지막으로 김미례 감독은 “어떤 것들을 알고, 듣게 되는 자리는 굉장히 소중하고, 큰 힘이 된다. 특별시사회에 함께해주신 분들께 감사드린다”라는 말로 관객들의 가슴을 울리며 행사를 마무리했다.

 



극장가를 찾는 관객들에게 깊이있는 역사적 성찰을 촉구하는 영화 <동아시아반일무장전선>은 오는 8월 20일(목) 개봉을 앞두고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