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능전망대

무한도전 웃음사냥꾼. 박명수가 가진 장점과 한계를 뚜렷하게 보여준 의미심장한 특집

반응형

지난 31일 방영한 MBC <무한도전-웃음사냥꾼>은 속칭 ‘빅재미’와 ‘핵노잼’이 공존하던 기괴한 한 회 였다. 얼마 전 방영한 MBC <마이리틀텔레비전>(이하 <마리텔>)에 출연한 박명수의 실패를 되새김 하며 ‘웃음 사망꾼’이란 명명 하에 장례식을 치룰 때까지만 해도 <무한도전-웃음사냥꾼>은 정말 재미있었다. <마리텔>에서 있었던 부진을 완전히 씻은 듯이, 박명수가 다시 ‘웃음사냥꾼’으로 완벽히 부활할 것만 같았다. 





하지만 정작 박명수가 야심차게 기획 했다는 본편 ‘웃음사냥꾼’은 정작 큰 웃음을 주지 못했다. 웃음보다는 한숨이, 짜증이 더 많았던 특집이었다. 결국 <무한도전> 역사상 가장 최악의 특집으로 기억되는 ‘좀비특집’에 버금간다는 오명만 뒤집어 쓴 채, 박명수의 ‘웃음사냥꾼’은 쓸쓸히 막을 내렸다. 


‘개그맨 빰치게 웃기는 일반인들을 찾아서’라는 컨셉 아래, 제보만 믿고 무작정 일반인에게 큰 웃음을 기대한다는 기획 자체가 무리수였다. 이번 ‘웃음사냥꾼’이 평범한 시민들의 일상에 숨겨진 기이한 이야기를 보여주는 취지로 20년 가까이 장수해온 SBS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일이>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치자. 하지만 사연 당사자를 오랜 시간 유심히 관찰한 끝에 그만의 독특한 행동을 포착하는 것이 아니라, 아무런 사전 준비 없이 덜컥 연예인 빰치는 장기를 요구하는 ‘웃음사냥꾼’의 진행은 영문도 모른 채 카메라 앞에 서게된 시민들을 되레 위축시킬 뿐이다. 





만약에 유재석이 진행하는 SBS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나 혹은 지금은 폐지된 KBS <나는 남자다>처럼 일반인 스스로가 방송에 나온다는 의식을 하고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경우라면, 연예인 못지않게 웃기는 일반인들을 만나는 행운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또한, 방송에 낯선 일반인들을 편하게 해주는 유재석이라는 유능한 진행자가 있을 때만 가능하다. 재미있는 사람이 있다고 한들, 카메라 앞에서 그를 잘 모르는 불특정 다수를 웃기는 행위는 별개의 영역이다. 사람이 재미있는 것과 웃기는 행위가 철저히 다르다는 것을 정확히 인지하지 못했다는 것. 여기서 ‘웃음사냥꾼’의 비극이 시작된 것이다. 


평소 지인들을 즐겁게 해주는 재주꾼이라면, 카메라 앞에서도 틀림없이 웃길 것이라고 확신한 박명수는 ‘웃음사냥꾼’을 자신의 <마리텔>에서의 부진을 확실히 씻겨 줄 기회로 확고히 밀어 붙인다. 하지만 돌아온 결과는 처절한 실패였다. 아무리 재미있고 기발한 기획이라고 한들, 막상 실행으로 옮기면 그렇지 않은 경우도 더러 있다. ‘좀비특집’도 그랬고 ‘인도특집’도 그랬다. 





‘웃음사냥꾼’이 더욱 실망스러웠던 것은 상상과 현실에서 오는 큰 괴리 뿐만은 아니었다. 예상하지 못했던 난관에 부딪친 박명수가 취한 행동이었다. 그는 한계가 뻔히 보이기도 하지만, 방향만 바꾸면 의외의 대박 특집이 될 수 있었던 ‘웃음사냥꾼’을 살리기 위한 그 어떤 심폐 소생술도 하지 않았다. 박명수 본인의 지인에게 연락하거나, 정준하의 도움을 받고 그의 지인을 급히 섭외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의 전부이다. 박명수에게는 무언가를 기획할 때 항상 준비되어있어야하는 ‘플랜B’가 없었고, 그러다보니 주먹구구로 위기를 헤쳐나가야 했다.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가 뚜렷한 상황 이었기 때문에 임기응변식 대응은 곧 한계에 부딪치고 만다. 


‘웃음사냥꾼’의 실패는 누군가를 웃기는 행위가 얼마나 어렵다는 것을 절실히 깨닫게해주는 일종의 방증이기도 한다. 그래서 ‘웃음사냥꾼’은 <마리텔>에서 시청자들을 웃기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었지만, 웃기지 못한 박명수를 위한 변명과 위로가 될 수도 있다. 비록 <마리텔>과 <무한도전-웃음사냥꾼>은 실패했지만, ‘웃음사망꾼 장례식’에서 보았듯이, 박명수는 시청자들을 빵빵 터지게하는 능력있는 예능인이다. 하지만 <마리텔>, <무한도전-웃음사냥꾼>처럼 그 자신이 주축이 되어 움직이는 프로그램에서는 한없이 약한 모습을 보이는 것 또한 박명수가 가진 뚜렷한 한계다. 





<마리텔>에서 웃기지 못한 박명수 본인의 명예회복을 위해 나섰지만, 결론적으로 혹 떼려다가 혹만 더 붙인 꼴만 되어버린 <무한도전-웃음사냥꾼>. 훗날 ‘웃음사망꾼 장례식’만 빼면, <무한도전> 역사상 최악의 특집으로 손가락 안에 꼽힐 ‘안습’의 특집을 굳이 방영한 <무한도전> 제작진의 저의는 무엇일까. 


‘웃음사망꾼 장례식’에 참여했던 <마리텔>의 박진경, 이재석PD의 변처럼, 최정예 편집요원을 붙여도 살아날 수 없는 상태여서 그랬던 걸까. 아니면, 또 다른 숨겨진 뜻이 있는 걸까. 





비록 박명수가 의도했던 대로, 개그맨 빰치는 웃음사냥감은 찾을 수 없었지만, 냉탕과 온탕을 극단적으로 오갔던 <무한도전-웃음사냥꾼>처럼 예능인으로서 장점과 한계가 뚜렷한 박명수를 다시금 돌아보게하였다는 점에서 특집의 의의를 찾아야할까. 그야말로 오랜만에 다른 의미에서 오래오래 기억에 남을 특집이 탄생한 순간이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