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전망대

'미 1번 국도' 카메라로 바라본 80년대 미국의 이야기

반응형

캐나다에서 미국 동부 해안선을 따라 키웨스트, 플로리다를 잇는 미국 1번 국도(Route 1)는 1936년 세계에서 가장 교통량이 많은 도로였다. 하지만 1980년대 후반 로버트 크레이머 감독의 눈으로 본 미 1번 국도는 미국에서 오래되고 낙후된 지역의 하나다. 


도로의 주변에는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었고, 한동안 미국을 떠나 방랑자처럼 살았던 크레이머  감독은 자신이 예전에 만든 극영화 <닥의 왕국>(1987)의 주인공이자 감독의 분신 닥(폴 막이작 분)을 내세워 미 1번 국도 주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삶을 카메라로 담고자 한다. 




제목 그대로 <미 1번 국도>(Route One USA, 1989)를 다루고 있는 영화는 1930년대만 해도 가장 번성한 도로였으나 50년이 지난 1988년에는 고속도로 옆의 낡고 허름한 도로가 된 '미 1번 국도'를 바라보고자 한다. 


감독의 관심사는 도로 그 자체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낙후된 도로 옆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미국을 떠나 유럽을 떠돈지 10년 만에 그토록 그리워하던 고향으로 돌아온 크레이머 감독은 그가 오래 살았고 잘 안다 생각하는 뉴욕을 등지고 자신이 잘 모르는 미 1번 국도 주변을 떠돈다. 


1988년 크레이머 눈으로 바라본 '미 1번 국도'는 훗날 지어진 고속도로 옆에서 나란히 지역과 지역 사이를 잇는다. '미 1번 국도' 지역을 그저 낙후된 지역으로만 여겼던 크레이머 감독은 약 5개월 가량 주행 끝에 미국이라는 나라의 과거를 거니는 것이 아니라 동시대 미국의 진솔하고 역동적인 단면을 보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245분이라는 긴 러닝타임 동안 미 1번 국도 주변을 살고 있는 수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카메라로 기록한 감독은 그들을 통해 레이건 시대를 살고 있는 미국을 보고 의사로 설정된 닥을 빌러  미국 사회를 검진하고 관찰하고자 한다. 


크레이머 감독의 분신인 '닥'이 현실을 살고 있는 '미 1번 국도' 사람들을 만나 인터뷰를 하는 형식으로 구성된 <미 1번국도>는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를 두루 오간다. '미 1번 국도' 주변을 살피는 크레이머의 카메라는 유려하면서도 그가 바라보는 80년대 미국의 현재를 낱낱이 살핀다. 




닥이라는 허구의 인물을 내세워 '미 1번 국도' 주변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미 1번 국도>는 레이건 이후 신보수주의 물결로 물든 미국 사회를 해부하고 고찰한다. 이러한 현실을 목소리 높여 비판하는 대신, 카메라를 든 크레이머는 80년대 후반 미국 사회를 바라보고 조용히 응시한다. 카메라를 통해 기록된 그 주위의 현실을 보는 것만으로도 많은 생각에 잠기게 하는 사색적인 영화다. 9회 DMZ국제다큐영화제 상영작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