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태종 이방원(백윤식 분)은 유독 권력욕이 강한 사람이다.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 아들 중에서 가장 비범한 인물임은 틀림이 없다. 만약에 그가 이성계의 큰 아들이었다면, 아니 하다못해 이성계가 가장 총애했지만 결국 그 아비의 가슴에 비수를 꽃고 산으로 들어간 큰 아들의 다음 아들로 태어났어도 이방원이 수많은 이들의 피를 흘리면서까지 조선 최고의 권력자가 되는 비극은 없었을 지도 모른다.
아이러니하게도 조선 초기 시대 유능한 왕들은 대부분 다 장자가 아니다. 가문은 장자가 잇는다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성리학 국가에서 정작 성리학이 정한 질서에 모범을 보여야하는 왕실에서 가장 기본을 깨트린다는 것은 성리학 왕조 조선의 정당성을 약화시킨다. 그래도 조선 초기에는 조선 중, 후기처럼 성리학이 심화되지 않았다. 성리학 신봉자로 신권 중심의 나라를 세우고자한 정도전 스스로가 이성계 첫째 부인에서 난 다 큰 아들들을 제치고, 이제 막 어린애 티를 벗은 방석, 방번 형제를 왕위에 옹립하려고 했으니. 만약 그 때 정도전이 이성계 둘째 부인 자식들이 아닌 그중에서 가장 뛰어난 아들인 이방원을 왕위에 앉히려고 했으면 그래도 형제들끼리의 칼부림은 일어나지 않았을까? 아니다. 원래 정도전과 이방원은 숙명적으로 대적할 수 밖에 없는 운명에 놓였다. 정도전은 조선을 재상 중심의 나라로 만들려고 하였고, 반면 이방원은 왕 중심의 강력한 군주 국가로 만들고자 하였다. 하지만 본래 성리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신하들끼리의 당파를 만들고, 신권이 강한 정치를 권하는 쪽이었다. 만약 정도전 하나를 제거한다고 해도, 또 성리학에 깊이 빠져든 나머지 군주 중심의 통치를 하고자하는 이방원에 반기를 드는 세력은 나날이 늘어날 것이다. 그래서 이방원은 자기에게 반기를 들 조짐만 보이면, 바로 제거하였다. 그게 이방원의 정치다.
자기에게 걸리적 거리는 모든 것이라면 바로 과감히 제거해버리는 이방원에게 이도 즉 충령대군과 같은 온화하고 생각이 깊은 아들이 태어났다는 것은 기적이다. 본래 이방원의 피를 가장 많이 타고난 아들은 첫째인 양녕대군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태종은 첫째, 둘째를 놔두고 셋째 아들인 이도에게 자신의 왕위를 계승한다. 그것도 자신은 상왕으로 자리를 옮기고 아들을 꼭두각시 주상으로 앉혀놓고 실질적인 통치권은 다 자기가 차지한다. 아들 이도에게는 넌 오로지 방진이나 하면서, 내가 하라는대로만 하라고 엄명을 내려놓았다. 역사적 정설로는, 이방원이 흘린 피는 앞으로 세종이 성군이 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희생이었다고 하나, <뿌리깊은 나무> 속의 이방원은 여전히 권력욕에 눈이 먼 나머지, 아들 중에서 가장 유약한 이도를 앉혀놓은 듯 보인다. 그래야 자기 입맛에 맞게 왕이 무소불위 권력을 휘두르는 조선으로 굴릴 수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도(송중기 분)는 한반도 땅에 있었던 역대 왕조 중에서도 가장 성군으로 평가됨은 물론, 가장 희대 천재형 인물이었다. 이방원 역시 만만치 않은 인물임에는 틀림없으나, 이도의 천재성을 따라갈 수는 없었다. 다만 어릴 때부터 아버지가 흘린 피에 대한 죄책감에 시달려왔고,틈만나면 왕과 아비의 특권으로 이도를 강압적으로 누르곤했던 이방원때문에 상대적으로 기를 펼 수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세종은 자기 스스로 아무것도 할 수 없었다. 그리고 어느 모르는 이가 했던 말 "넌 혼자서 아무것도 못해"라는 말에 깊은 상처를 안고 있으면서, 유일하게 스스로 할 수 있는 방진에 집착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방진은 천재 이도에게 단순한 놀이가 아니었다. 앞으로 조선을 이끌어갈 왕으로서 아버지 이방원이 잔인하게 밀고나갔던 조선 땅을 모두다 공평하게, 그리고 어느 누구의 희생이 없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어나가고자하는 것이 바로 이도였다. 그래서 이도는 방진의 숫자를 맞춰보면서 세상의 이치를 깨닫게 되었다. 아버지 이방원은 여러 고민없이 오로지 하나(1)을 빼고 그 외 모든 것을 과감하게 제거했지만 이도는 결국 방진을 풀어내었다. 그리고 이제 드디어 아버지 이방원에게 맞서게 된다. 33방진을 어느 한 숫자의 제거없이 완벽히 풀어냈으니 나의 조선은 아버지의 조선과는 다를 것이다면서 말이다.
이제 그 풀기 어렵다하여 악마의 '마'방진이라고까지 불리는 방진을 풀어낸 이도는 아버지가 휘두르는 '칼'보다 더 무서운 것을 알게 되었다. '칼'로 짓밟을 수록 더 날카로운 '칼'이 나오게 되지만, 글을 앞세운 문화로 인한 통치는 한 방울의 피도 흘리지 않으면서 더욱 무섭게 상대방을 진압할 수 있다. 그게 바로 600여년전에 태어난 왕 이도가 파악하던 리더십이다.
안타깝게도 그토록 '칼'이 흘리는 피에 경계를 하였던 세종의 혈육에서 역시나 조부 이방원에 버금가는 독재자가 한 명 출연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방원, 수양대군에 못지 않은 학살자가 나오기도 하고, 또한 세종에 버금가는 훌륭한 정치를 하였던 지도자도 이따금씩 나왔다. 하지만 피로 인한 권력은 곧 순식간에 무너지는 법이다. 앞에서만 고개를 숙일 뿐. 결국은 때를 기다리면서 또다른 피바람을 낳을 뿐이다. 하지만 자신의 목숨을 겨눈 정적에도 베풀 수 있는 관용과 부드러움은 더많은 이들의 지지와 존경을 받는 법이다. 물론 태종 이방원이 휘두른 칼 때문에 세종이 자신의 통치에 훼방을 놓을 인물이 다 제거된 상태에서 완벽한 정치를 펼칠 수 있었다는 점도 없지 않아 있다.
하지만 세종은 그토록 자기를 죽이고 싶은 노비 강채윤마저도 결국은 완전히 왕에게 복종을 하게 만드는 인물이다. 세종이 살았던 1400년대나, 세종이 반대세력을 물리치면서 만들어낸 한글로 보다 많은 이들이 똑똑해진 21c 대한민국이나, 정치에 대한 본질은 같다. 독재는 잠시는 조용할 지 모르나, 후에 걷잡을 수 없는 더 큰 반발을 초래한다. 반면 만물의 조화를 표방하는 정치는 그 과정에서는 온갖 잡음이 들릴지 몰라도 결국은 온 국민의 존경과 나라 안의 평화를 가져온다. 호시탐탐 이 나라를 노리는 외적이 침입했을 때도 똘똘 뭉쳐 위기를 이겨내는 큰 힘을 가져오게 한다. 그래서 세종이 인간 이도가 가지는 모든 약점을 극복하고 그 어느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성군의 위치와, 유례없는 태평성대를 구축할 수 있었던 것이다.
덧) 어린(?) 이도 역할을 맡은 송중기가 이리 연기를 잘하는 배우인 줄은 몰랐다. 젊은 배우가 외유내강형의 섬세한 감정을 표현하는게 쉽지만은 않을텐데;; 진짜 한석규만 아니었어도 송중기가 세종을 계속 해도 될뻔...
728x90
'드라마전망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뿌리깊은 나무.정기준을 대하는 이방원과 이도의 다른 자세 (41) | 2011.10.13 |
---|---|
뿌리깊은 나무 왜 강채윤은 죽이고픈 이도에게 무릎을 꿇을 수 밖에 없는가? (33) | 2011.10.06 |
뿌리깊은 나무 기대되는 탄탄한 라인업 속 신세경은 여전히 건재하다. (13) | 2011.09.30 |